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인체

당뇨병

by 소심쫄보 2023. 11. 14.
728x90

당뇨병이란

 

당뇨병은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거나 인슐린이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해서 생기는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고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당뇨병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나뉘는데,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아예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라 하면 제2형 당뇨병을 말하는데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생깁니다. 2형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서구식 식생활로 인한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있고, 그 외에 감염, 인슐린이 생산되는 췌장 수술, 약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당뇨병의 증상

 

혈당이 많이 올라가면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게 되고,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되며 체중이 줄어듭니다. 또 영양분이 몸에서 활용되지 않고 빠져나가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집니다. 고혈당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신체에 여러 합병증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망막병증으로 인해 실명할 수 있으며,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기고 심하면 투석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그 외에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또한 갑작스럽게 저혈당 상태에 빠지는 경우 의식 장애가 생기며 심하면 목숨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당뇨병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증상이 없는 경우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의 증상이 나타나고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일 때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슐린을 투여합니다. 2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추가로 약물을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2형 당뇨병인 경우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생활습관 교정은 필수적으로 해야 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의 목적은 혈당조절, 혈중 지질, 혈압 유지입니다.

우선 규칙적으로 적절한 열량을 섭취해야 합니다. 규칙적으로 비슷한 양으로 식사를 하면 혈당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는 곡류와 과일 등의 섭취량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설탕이나 각종 감미료 등의 당류는 혈당을 단시간에 급격하게 올릴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합니다. 반면에 섬유소는 혈당 상승 속도를 늦추고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추기 때문에 잡곡밥에 채소, 해조류 등의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 위주로 섭취하도록 합니다.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이므로 가급적 불포화지방산 위주로 먹도록 합니다. 소금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을 올릴 수 있으므로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고 음주, 흡연을 삼갑니다.

 

외식을 하게 될 경우 메뉴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합니다. 외식으로 먹는 메뉴는 보통 고열량에 소금을 과다 섭취하게 될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채소류를 많이 섭취할 수 있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중식, 피자, 치킨, 삼겹살, 갈비 등 기름기가 많은 음식보다 기름기가 적은 음식으로 선택합니다.

한식의 경우 밥 양을 조절하면서 다양한 반찬과 함께 식사를 하며 기름이 함유되어 있는 국물은 남깁니다. 일식은 튀김류나 단 음식 섭취에 주의하고, 초밥의 경우 밥을 꼭꼭 뭉쳐서 만들기 때문에 밥을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중식은 지방과 염분이 많이 들어있어 자주 먹지 않는 게 좋습니다. 양식의 경우 고열량이 많으므로 스프는 야채스프, 샐러드 소스는 조금만 넣거나 아니면 찍어먹으며, , 사이드디시 등의 섭취 시 양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예방방법

 

2형 당뇨병의 경우 체중 감량, 식이요법 등의 생활 습관을 교정하면 당뇨병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질병과 인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0) 2024.03.15
빈혈  (0) 2023.11.17
역류성 식도염  (0) 2023.11.11
과민성대장증후군과 소화  (0) 2023.11.04
과민성대장증후군  (0)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