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과 영양소

우리 몸 곳곳에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의 필수 성분, 철

by 소심쫄보 2023. 9. 21.
728x90

철분의 개요

 

헤모글로빈의 필수 성분으로 폐로 들어온 산소를 인체 내 각 조직으로 전달하는 적혈구의 작용을 돕습니다.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미오글로빈의 구성성분으로 근육 대사와 결합조직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신체의 성장, 신경의 발달, 세포의 기능, 몇몇 호르몬의 합성에도 필요합니다.

 

인체 내의 철은 대부분 헤모글로빈에 들어있습니다. 나머지는 간, 비장, 골수에 저장되거나 근육조직에 미오글로빈 형태로 들어있습니다. 트랜스페린은 혈액 중의 단백질로 철과 결합해서 철을 신체 곳곳에 전달하는 작용을 합니다.

철 결핍은 세계적으로 흔한 증상으로 특히 영유아, 가임기 여성, 임신한 여성에게 발생률이 높습니다. 식사로 섭취하는 철은 헴철(heme iron)과 비헴철(non-heme iron)로 나뉩니다. 대부분의 식물과 철분 강화 식품은 비헴철만 함유하고, 동물, 해산물 등은 헴철과 비헴철 모두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철 보충 식품으로는 육류와 어패류가 가장 좋고, 그 외에 곡류, 콩류, 녹색 채소 등에 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체내 저장철이나 식품으로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요한 철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면 혈액 내 적혈구 세포 수가 감소할 뿐 아니라 헤모글로빈 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심해지면 혈액 내 산소 운반 능력이 감소하여 철 결핍성 빈혈이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철 결핍 증상으로 어린이의 발달장애, 행동장애, 인지능력 손상과 임부의 임신성 빈혈, 조산, 미숙아, 사산 위험 등이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분만한 경우 출생 시 어느 정도 저장철을 가지고 태어나서 생후 4~5개월은 체내에 저장된 철을 대사에 사용합니다. 그 후에는 저장철이 소진되고 모유, 분유의 철분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이유식으로 철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임신을 하면 태아와 태반을 형성하고, 모체 순환혈액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철분의 수요량이 증가합니다. 임신 경과에 따라 적혈구 수도 증가하지만 혈장용량이 더 증가하기 때문에 빈혈이 생기기 쉽습니다.

 

철분의 기능

 

헤모글로빈의 필수 성분으로 적혈구의 작용을 돕습니다. 베타카로틴의 비타민A로의 전환, 퓨린, L-카르티닌, 콜라겐 합성, 간과 장에서의 약물 해독, 신경전달물질 합성 등에 필요합니다.

 

철분의 안전성, 부작용

 

식사를 통해서 철을 과잉 섭취할 가능성은 매우 적지만, 철분 보충제나 약을 통해 급성으로 중독되는 경우 복부 통증, 구토, 변비, 흑변 같은 위장관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과잉 섭취한 철은 아연 흡수를 방해해서 혈중 아연 농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런 철 중독이 심한 경우 여러 장기 부전, 혼수상태, 경련, 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아기의 과도한 철 섭취는 자폐증, 알레르기 등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으므로 지나친 철분 보충은 주의해야 합니다. 반면 성장기에 철분 섭취가 부족하면 빈혈도 잘 생기므로, 적당한 철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보통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섭취는 별 문제가 없고 보충제로 과다섭취하는 경우가 문제가 되니, 보충제는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 사용하도록 하며 식사와 함께 섭취하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호작용

 

비타민C는 철의 환원을 도우므로 철의 흡수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비헴철 제품으로 철 보충제를 섭취할 때 오렌지 주스를 마시면 철 흡수를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타민C의 산성으로 바헴철 철분제의 위장장애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위장이 약한 사람은 비타민C 같은 환원제의 도움이 필요 없는 헴철 제품을 고려하는 게 좋습니다.

육류에 존재하는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은 비헴철의 흡수를 도울 수 있습니다. 곡류의 섬유질에 많은 피트산, 채소류에 많은 옥살산, 적포도주 및 차의 성분인 탄닌 등은 비헴철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빈혈로 철분을 시급하게 공급해야 할 경우 위의 성분과 동시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산제의 사용 등으로 위산 분비가 저하되면 철의 환원이 안 돼서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