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73

중년 여성들의 삶의 질 저하의 원흉, 요실금 –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복합성 요실금 요실금 일상생활을 하던 중 기침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등의 상황에서 소변이 새는 현상으로 많은 여성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게 되고 자존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채기를 하거나 점프를 하는 등 물리적 압박이 직접 방광에 작용하는 종류의 요실금을 복압성 요실금 또는 스트레스성 요실금이라고 합니다. 절박성 요실금은 일단 소변이 마렵다고 느끼면 즉시 해결해야 하고 그러지 못하면 그냥 소변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방광염에 걸렸을 때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실금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오래 방치하면 두 종류의 요실금이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그러면 치료는 더욱 까다로워집니다. 복압성 요실금 소변이 새는 원인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골반 밑바닥에 위치.. 2023. 8. 5.
여성의 갱년기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 - 폐경 이후가 갱년기인가? 월경전증후군(PMS) 우리 몸은 30대 중반 이후가 되면 조금씩 호르몬과 관련해 변화하는 증상을 보이기 시작해서 천천히 몸의 컨디션이 바뀌어 가는데 이 과정을 폐경전기라고 부릅니다. 이는 보통 폐경이행기(갱년기)로 넘어가게 됩니다. 흔히 50대는 되어야 갱년기가 시작이 되고 호르몬의 변화가 생긴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30대의 여성이 자신의 컨디션 변화를 폐경과 관련지어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보통 폐경전기는 38세에서 44세 사이에 시작된다고 합니다. 사람에 따라서 약간의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아무 증상도 못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월경전증후군(PMS)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이전부터 PMS를 겪었던 사람이라면 증상이 더 심해지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PMS란 월경 전에 나타나는 신체적,.. 2023. 8. 4.
여성의 월경주기를 조절하는 성 호르몬 삼총사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여성호르몬이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올리게 되는 호르몬입니다. 흔히 여성스러움, 여성성이라고 하는 것을 담당합니다. 주로 난소에서 생성되며 생식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수정란을 착상시키기 위해 자궁 내벽을 두텁게 만듭니다. 그밖에 여성스러운 체형을 만들고 피부와 결합조직에서 콜라겐을 합성합니다. 생식기관의 발달 및 정상적인 생리주기 유지에도 관여하며 뼈의 밀도 유지와 뇌를 보호하는 역할도 합니다. 뼈의 밀도를 조절하여 골다공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하고 동맥경화를 억제합니다. 사춘기 시절에는 신체 변화와 함께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자존감이 널을 뛰는 힘겨운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여성의 몸 전체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퍼져 있어서 혈관, 심장, 뇌부터 뼈까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2023. 8. 3.
탄수화물, 지방 그리고 저탄고지 식단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탄수화물 탄수화물 중독이라는 말도 있듯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특히 탄수화물 섭취량이 많습니다. 탄수화물이라고 하면 보통 쌀이나 밀 같은 곡물과 감자나 고구마 같은 구황작물을 떠올릴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섬유질도 탄수화물의 일종입니다. 이처럼 탄수화물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탄수화물은 3대 영양소 중 하나로 우리 몸에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포도당, 과당 같은 단순당(단순 탄수화물, 단당류와 이당류)이 있고 곡물, 채소와 같은 복합당(복합 탄수화물, 다당류)이 있습니다. 단당류는 탄수화물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포도당, 과당 등이 있습니다. 이당류는 정제된 설탕, 액상과당, 꿀, 유당 등을 말합니다. 이런 단순당은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에 혈당을 급격하게 높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혈당의 급격한 변화는.. 2023. 8. 3.
콜레스테롤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LDL과 HDL) 콜레스테롤 많은 사람들이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을수록 좋고 콜레스테롤은 백해무익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물질로 음식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체내에서 합성됩니다. 콜레스테롤은 지질의 한 종류로 세포의 세포막을 이루는 물질이며 혈액을 통해 운반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섭취한 지방을 가지고 간에서 합성하며 우리 몸의 필수적인 호르몬들의 주재료입니다. 또 내장지방이라고 하면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지만 우리 몸의 장기를 보호해주는 쿠션과 같은 완충 역할을 합니다. 과도한 양의 내장지방은 건강에 해롭겠지만 적당한 양의 내장지방은 우리 몸의 중요한 성분입니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뇌지질의 주요 구성 성분입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지나치게.. 2023. 8. 1.
갑상선 호르몬과 관련된 두 가지 질병 :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갑상선기능항진증이란 무엇인가 갑상선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은 목 앞쪽 중앙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기기관에서 분비되며 우리 몸에서 에너지 대사 효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몸에 공급되는 열량과 에너지 소모량의 밸런스를 조절하는데 다이어트, 스트레스, 감염으로 인한 염증 등으로 인해 공급되는 열량이 줄어들거나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지면서 밸런스가 깨지게 되면 갑상선은 에너지 소모량을 최대한 줄이게 됩니다. 갑상선 호르몬에는 몇 종류가 있는데 그중 주로 보는 것은 T4라고도 하는 티록신입니다. 그 외에 T3라고 불리는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도 있습니다. T4는 전부 갑상선 호르몬에서 직접 분비된 것이지만 T3는 20% 정도만 갑상선에서 만들어지며 80%는 갑상선 밖에서 T4가 T3로 전환된 것입니다. 우리 몸에서 실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2023.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