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알면 도움이 될지도 모르는 토막 지식66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음식물과 수면의 관계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카페인일 것입니다. 그밖에 자기 전에 우유를 마시면 속 쓰리지 않고 잘 수 있다거나 상추를 먹으면 잠이 오니까 시험기간이나 수험생 때는 먹지 말라는 이야기 등도 있습니다. 음식과 수면의 관계에 있어서 무엇을 먹는지도 중요하지만 언제 먹는지도 중요합니다. 수면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트립토판이 있습니다. 행복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세로토닌을 만들 때 사용하는 아미노산으로, 합성된 세로토닌은 다시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으로 전환됩니다. 트립토판은 인체 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음식물로 섭취해야 하는데, 트립토판이 많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음식이 우유입니다. 또 멜라토닌이 풍부하거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한 음식, 섬.. 2024. 1. 15.
흐트러진 생체시계와 수면 생체시계 생체시계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수면과 식사와 관계된 생체시계일 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생체시계는 훨씬 더 많은 일을 합니다. 호르몬 분비, 각종 화학물질 생성, 체온 조절 등 물질대사부터 근육 발달에 이르기까지 여러 신호를 조직과 장기의 세포로 보냅니다. 뇌와 조직, 장기의 일주기리듬이 조화를 이루어야 신체가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일주기리듬을 조절하는 복잡한 체계는 내부 신호와 외부 신호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런 신호를 차이트게버라고 합니다. 여러 요인에 의해 생체시계가 흐트러졌을 때 차이트게버를 활용해서 생체시계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차이트게버로 햇빛이 있습니다. 햇빛의 세기에 따라 뇌는 수면과 관련된 호르몬인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킵.. 2024. 1. 14.
분할된 수면시간 낮잠은 이로울까 해로울까 밤에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경우 낮잠을 자지 말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낮잠이 반드시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낮잠은 해로울 수도 있지만 이로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면 부족인 사람에게 낮잠은 꼭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 기면증 환자나 주간과다졸림증이 있는 경우에도 낮잠을 자는 게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언제 어느 정도 낮잠을 자는지에 따라 이로운지 해로운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면 주기를 한 번 도는 데는 약 90분 정도 걸립니다. 깊은 잠에 든 상태에서 깨면 잠에 취해 더 노곤하고 정신이 혼미하며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수면 주기를 한 번 도는 게 가장 이상적이지만 그렇게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3단계인 깊은 잠에 들기.. 2024. 1. 13.
불안/우울과 수면의 관계 및 인지행동치료 불안/우울과 수면 사람이라면 누구나 불안감과 우울감을 경험합니다.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느끼면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수면장애 또한 우울감과 불안감을 증폭시켜서 증상과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불안이란 통제가 어려울 정도로 과도한 걱정이나 두려움을 말합니다. 스스로 통제가 되지 않고 계속 초조한 기분이 들면 숙면을 취할 수 없습니다. 두려움은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을 촉발해서 각성 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평소에 불안감이 심한 사람은 어떤 이유에서라도 밤에 잠을 설치게 되면 다음날도 잠을 잘 자지 못할까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걱정이 다시 수면을 방해하고 그 결과 불안감은 더 커지는 악순환이 생겨서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고질적으로 수면부족을 경험하는 사람은 수면.. 2024. 1. 12.
수면과 관련된 잡다한 지식 –1- ASMR 유튜브를 보면 ASMR이라는 제목이 붙은 영상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처음 봤을 때 ASMR이라는 게 뭔지 몰라서 비슷한 제목의 영상 여러 개를 보고 백색소음이나 자연의 소리 같은 걸 들려줘서 심신을 안정시키고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인가 보다 대충 짐작했던 기억이 납니다.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은 자율감각 쾌락반응이라는 뜻으로 물리적 또는 심리적 안정을 주는 쾌감을 말합니다. 같은 영상을 보고 같은 소리를 들어도 ASMR에 반응을 하는 사람도 있고 반응을 하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반응을 하는 사람 중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ASMR에 대해 다른 반응이 나오는 까닭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2024. 1. 10.
기대수명은 계속 늘어날 것인가 2022년에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은 82,7세로 남자는 79.9세, 여자는 85.6세라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기대수명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지 52년 만에 처음으로 기대수명이 낮아졌는데 코비드19 때문에 사망자가 급증한 것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대수명은 태어난 시점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영양상태 개선, 위생 관리, 의약품의 발달, 의료접근성의 향상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예전에 기대수명이 낮았던 시기에도 장수하는 사람들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기대수명이 40세라고 해서 40세 정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망을 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영아사망률과 유아사망률이 워낙 높았기 때문에 기대수명이 낮아졌던 것이었고 사망률이 높은 생애 초기의 몇 년을 무사히 보내.. 2024.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