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73 그 외의 치과치료 – 치아 균열증 증후군과 신경치료(근관 치료) 치아 균열증 증후군 충치나 잇몸병 외에도 치과 치료를 받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충치 치료 후 충전물로 인해 치아 구조가 약해져 있을 때 딱딱한 걸 씹다가 자칫 잘못하면 치아에 금이 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치아 균열증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미세한 균열만 생겼을 때는 씹을 때 균열 부분이 벌어졌다 닫히면서 신경을 자극합니다. 찌릿하고 시큰거리지만 오래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이때는 치아가 벌어지지 못하게 잡아주기 위해 크라운 보철물을 제작합니다. 그런데 치료 적기를 놓쳐서 균열 사이로 세균이 침투하게 되면 신경에 염증이 생깁니다. 찬 음식이나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때는 신경치료를 한 후 크라운을 제작합니다. 만약 치아 뿌리 끝까지 염증이 생기면 주변 잇몸 뼈가 녹고 치.. 2023. 10. 9. 구강청결제는 양치질을 대체할 수 있을까 양치질 333 팩트 체크 양치질 관련해서 3⦁3⦁3이라는 숫자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하루 세 번, 식후 3분 이내에 3분 동안 양치질 하라는 뜻인데 양치질을 너무 많이, 너무 강하게 하면 치아가 마모될 수 있으므로 지나칠 정도로 하면 안 됩니다. 치태 조직화에 걸리는 시간이 약 12시간이므로 양치질은 12시간 간격으로 하루 2번만 해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식사 후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는 것보다 30분 후에 양치질을 하는 게 더 좋습니다. 식사를 시작하면 치아가 녹기 시작하는데 타액으로부터 칼슘과 인을 보충받아서 치아가 다시 단단해지는데 약 25분이 걸립니다. 치아가 다시 단단해지기 전에 양치질을 하면 치아가 쉽게 마모될 수 있으므로 30분 후에 양치질을 하는 게 좋습니다. 타액은 이처럼 부식된 치아에.. 2023. 10. 8. 잇몸병의 단계별 치료법 음식물을 먹고 양치질을 하지 않은 채 시간이 경과하면 치아 표면에 타액과 음식이 분해된 물질인 당 단백질이 혼합된 막, 즉 치태가 생깁니다. 치태가 생긴 채 방치하면 치태와 타액 내에 있던 칼슘과 인이 결합하여 석회화되어 치석이 생기고, 치석은 점점 잇몸 쪽으로 내려가면서 확산됩니다. 그 상태가 계속 진행되면 잇몸 뼈까지 손상되고 잇몸은 내려가게 됩니다. 정상 잇몸은 분홍색 연조직으로 귤껍질처럼 오돌토돌합니다. 잇몸 뼈는 치아를 둘러싸고 지지하는 턱뼈입니다. 치주낭은 치아와 잇몸 사이 틈을 말합니다. 치주인대는 치아를 잇몸 뼈에 고정시켜 주는 섬유성 결합조직입니다. 잇몸병의 가장 초기 단계는 치은염입니다. 치태가 쌓이고 치주낭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들이 뭉친 상태에서 세균이 공격을 시작하면 우리 몸에서는.. 2023. 10. 7. 충치의 단계별 치료법 치아의 구조 가장 바깥쪽에 위치해서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을 법랑질이라고 합니다. 고도로 석회화된 조직으로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하고 뼈보다도 단단한 부분입니다. 씹는 힘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치아 내부 구조를 보호합니다. 법랑질 속에 치아의 몸통 부분인 상아질이 있습니다. 머리 쪽은 법랑질로 덮여 있고 뿌리 쪽은 백악질로 덮여있습니다. 법랑질이 마모되어 상아질이 외부로 노출되면 시립니다. 통증과 온도 감각을 느낍니다. 치아 가운데 빈 공간을 치수강이라고 하고 치수강의 빈 공간을 채우는 연조직을 치수라고 합니다.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혈관으로는 치아에 영양을 공급하고 신경은 통증과 온도 감각을 맡습니다. 치주낭은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을 말합니다. 치주 인대는 치아를 잇몸뼈에 고.. 2023. 10. 6. 치아 관리의 기본 - 양치질 양치질을 해야 하는 이유 입 안에는 많은 세균이 살고 있습니다. 입안에 상주하는 세균은 약 500여 종에 1조 마리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 중에는 치아를 유발하는 세균도 있고 잇몸병을 유발하는 세균도 있습니다. 이 세균들은 치아 사이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먹이로 삼아 치아를 부식시키고 잇몸을 망가뜨립니다. 치아와 잇몸 건강을 위해 식후 최대 12시간 이내에 양치질을 해서 치아 사이의 음식물을 제거하고 치태를 조절해야 합니다. 치태란 음식 분해 물질(당 단백질)과 세균이 혼합된 치아 표면의 얇은 막을 말합니다. 양치질을 한 매끈한 치아 표면에는 세균들이 부착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치아에는 획득 피막이라는 얇은 막이 덮이고 그 획득 피막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달라붙어 증식을 .. 2023. 10. 5. 하루에 물은 얼마나 마셔야 할까 인체의 70%는 물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입니다. 비록 저 수치는 백인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인종, 성별, 나이, 주거지역 등에 따라 인체에서 수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달라지므로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말은 아니지만 그만큼 수분이 인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중요하다는 걸 나타내는 표현이라 하겠습니다. 인체에서 물의 역할 우리 몸에서 물은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세포에 공급하고 노폐물과 독소를 소변이나 땀으로 배출합니다. 탈수상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수분부족 상태가 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나이가 들어가면 체내에 수분이 부족해서 신진대사 기능이 떨어지기 쉬운데, 이런 경우 혈관질환이나 신장결석 등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수분부족 상태가 되면 입이 마르고 입 .. 2023. 10. 4.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9 다음